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야기

췌장 아밀라아제 수치 검사 뜻 해석

by 위즈 wiz 2025. 2. 11.
반응형

오늘은 췌장 아밀라아제(Pancreatic Amylase) 수치 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검사는 주로 췌장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급성 및 만성 췌장염, 췌장암 등의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1. 아밀라아제란?

아밀라아제(Amylase)는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소화효소입니다. 이 효소는 주로 침샘과 췌장에서 생성되며, 우리가 섭취한 탄수화물을 작은 당으로 분해하는 역할을 합니다.

 

  • 침샘에서 나온 아밀라아제: 주로 입에서 탄수화물 소화를 시작함
  • 췌장에서 나온 아밀라아제: 소장에서 음식물 소화를 도우며, 일부는 혈액으로 방출됨

 

2. 췌장 아밀라아제 수치 검사란?

췌장에서 만들어진 아밀라아제는 혈액으로 방출되는데,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됩니다. 하지만 췌장에 문제가 생기면 아밀라아제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췌장 아밀라아제 검사: 혈액이나 소변에서 췌장 유래 아밀라아제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
  • 정상 범위: 일반적으로 30~110 U/L (병원마다 기준이 조금 다를 수 있음)

 

3. 췌장 아밀라아제 수치가 높을 때 (증가 원인)

아밀라아제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으면, 일반적으로 췌장이 손상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수치 증가 원인

급성 췌장염 (Acute Pancreatitis) 가장 흔한 원인
췌장이 심하게 염증을 일으키면서 아밀라아제가 혈액으로 많이 방출됨
수치는 보통 정상보다 3배 이상 증가할 수 있음
만성 췌장염 (Chronic Pancreatitis) 췌장이 반복적으로 손상되어 기능이 떨어지는 상태
초기에 아밀라아제 수치가 상승할 수 있지만, 췌장이 더 손상되면 수치가 오히려 낮아질 수도 있음
췌장암 (Pancreatic Cancer) 췌장암이 진행되면서 췌장세포가 파괴되면 아밀라아제가 증가할 수 있음
담석증 (Gallsontes) 및 담관폐색 담관이 막히면 췌장에서 소화효소가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고 혈액으로 역류할 수 있음
소화성 궤양 천공 (Perforated Peptic Ulcer) 위나 십이지장 궤양이 심하게 악화되면 아밀라아제 증가 가능
복부 외상 및 수술 후 췌장이 물리적으로 손상될 경우 혈중 아밀라아제가 증가할 수 있음

 

4. 췌장 아밀라아제 수치가 낮을 때 (감소 원인)

아밀라아제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낮으면, 이는 췌장의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수치 감소 원인

만성 췌장염 (Chronic Pancreatitis, 말기) 반복적인 염증을 인해 췌장의 기능이 소실되면서 아밀라아제 생성 능력 저하
췌장부전 (Pancreatic Insufficiency) 췌장이 정상적인 소화효소를 생산하지 못하는 상태
당뇨병 환자나 췌장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음
낭성섬유증 (Cystic Fibrosis) 유전적 질환으로, 췌장의 점액 분비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면서 기능이 저하됨
췌장 절제술 후 (Pancreatectomy) 수술로 인해 췌장의 일부 또는 전체가 제거된 경우

 

5. 췌장 아밀라아제 검사 결과 해석

수치 범위 해석 가능한 원인
30~110 U/L (정상 범위) 정상 건강한 상태
110~300 U/L (약간 증가) 의심 필요 경미한 췌장염, 담석, 위궤양 등
300 U/L 이상 (높음) 의심됨 급성 췌장염, 췌장암, 담관폐색
30 U/L 이하 (낮음) 의심됨 만성 췌장염 (말기), 췌장부전

 

6. 췌장 아밀라아제 검사 시 고려할 점

1. 리파아제(Lipase) 검사와 함께 보는 것이 중요

  • 췌장 문제를 더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보통 리파아제(Lipase) 검사도 함께 진행합니다.
  • 리파아제는 췌장 특이성이 더 높아 급성 췌장염 진단에 유용합니다.

 

2. 혈당과 연관된 검사도 함께 고려

  • 췌장이 인슐린을 분비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당뇨병과도 관련이 있음

 

3. 신장 기능도 함께 평가

  • 아밀라아제는 신장에서 배설되므로,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아밀라아제 수치가 증가할 수도 있음

 

결론

췌장염이 의심되는 경우 아밀라아제 수치를 측정하여 급성인지 만성인지 감별해야 합니다.

 

소화 문제(복통, 소화불량 등)가 있는 경우 췌장 기능 저하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담석증이나 췌장암 가능성 평가하여 다른 검사와 함께 사용하여 진단을 보조해야 합니다.

 

아밀라아제 수치가 변한다고 해서 무조건 췌장 질환이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하지만, 특히 급성 췌장염이 의심될 경우 신속하게 진단하는 데 중요한 검사입니다.

반응형